티스토리 뷰

두부 얼리는 방법 및 해동하는 방법 그리고 언두부 / 동두부 효능 정리할게요
두부는 그냥 먹는 게 최고라고요? 아니요!
요즘은 두부를 일부러 얼려서 더 건강하고 다이어트에 좋은 ‘언두부(동두부)’로 활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
얼린 두부는 식감이 바뀔 뿐 아니라, 단백질 함량은 그대로인데
칼로리는 낮고 포만감은 훨씬 높아지는 특징이 있어요.
오늘은 두부를 어떻게 얼리고, 어떻게 해동하면 되는지,
그리고 언두부(동두부)의 건강상 효능까지 하나도 빠짐없이 정리해드릴게요.
✅ 두부 얼리는 방법 (언두부 만드는 법)
순서 | 방법 |
1단계 | 두부를 먹기 좋은 크기(2~3cm 두께로 슬라이스)로 자른다 |
2단계 | 키친타월로 수분을 살짝 제거 |
3단계 | 밀폐용기 or 지퍼백에 낱개로 분리해서 넣기 |
4단계 | 냉동실에 24시간 이상 보관 |
5단계 | 노란색으로 변하면 완전히 언두부 완성! |
📌 일반 두부 / 찌개용 / 부침용 다 가능
단, 너무 연한 순두부는 얼리기 어려움
✅ 언두부 해동하는 방법
해동 방식 | 설명 |
상온 자연 해동 | 1~2시간 정도 실온에 두면 서서히 해동됨 |
끓는 물 해동 | 뜨거운 물에 5분 담가두면 빠르게 해동 가능 (추천!) |
전자레인지 해동 | 랩 씌운 채 1~2분, 수분 빠져 퍽퍽해질 수 있음 |
냉장해동 | 전날 냉장고에 옮겨두면 부드럽게 해동 |
📌 해동 후 꼭! 손으로 살짝 눌러 물기 제거해야 쫄깃한 식감 유지
✅ 언두부 / 동두부란?
- 얼린 두부를 해동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
스펀지처럼 구멍이 생기고 쫀득한 식감이 되는 두부 - ‘동두부’ 또는 ‘언두부’로 불리며
다이어트식, 단백질 대체식품, 고기 대용 식재료로 활용
✅ 언두부의 6가지 대표 효능
1. 🏋️ 단백질 흡수율 상승
→ 수분이 빠지며 단백질 밀도가 높아져
→ 근육 회복, 체중조절에 도움
2. ⚖️ 포만감 높아 다이어트에 탁월
→ 씹는 식감이 쫄깃해져 천천히 먹게 되고
→ 칼로리는 낮지만 포만감은 오히려 증가
3. 🧠 두뇌 건강 강화
→ 두부 속 레시틴과 불포화지방산이
→ 뇌세포 활성화, 기억력 유지에 도움
4. 💪 골다공증 예방
→ 식물성 칼슘 풍부 → 뼈 건강 유지
→ 특히 우유 못 마시는 분에게 추천
5. 💖 콜레스테롤 감소
→ 이소플라본 성분이 나쁜 콜레스테롤(LDL) 수치를 낮춰
→ 혈관 건강 개선
6. 🌿 변비 예방
→ 얼려서 수분이 빠졌지만
→ 식이섬유는 그대로 유지되어 장 건강 유지에 효과
✅ 언두부 요리 활용 팁
요리명 | 활용 포인트 |
언두부 스테이크 | 고기 대신 두부 으깨고 양념 반죽 후 구워서 단백질 식단 완성 |
언두부 볶음 | 잘게 썬 언두부를 채소와 함께 볶아 칼로리 낮은 한 끼로 |
언두부조림 | 간장, 마늘, 고춧가루 넣고 졸이면 밥도둑 |
언두부 에어프라이어 | 기름 없이 구워 고소한 식감 |
샐러드 토핑 | 깍둑썰기 해 해동 후 바로 올리면 영양+식감 Up |
✅ 언두부 vs 일반두부 비교
항목 | 일반 두부 | 언두부 (동두부) |
식감 | 부드럽고 연함 | 쫀쫀하고 스펀지 느낌 |
수분함량 | 약 80% 이상 | 약 60% 이하 |
단백질 밀도 | 중간 | 상대적으로 높음 |
포만감 | 낮음 | 높음 |
요리 적합성 | 찌개, 국물요리 | 볶음, 구이, 샐러드 |
✍️ 마무리하며
두부를 얼려서 먹는 것, 생각보다 건강하고 실용적인 방법입니다.
특히 다이어트 중인 분들, 고기 섭취 줄이려는 분들, 고단백 저칼로리 식단을 찾는 분들께
언두부는 가성비 높은 슈퍼푸드로 추천드려요.
오늘 저녁엔 두부 한 모 얼려서,
맛있고 건강한 동두부 요리 어떠세요? 😊
📌 함께 보면 좋은 링크
토핑이유식 장단점 비교 – 우리 아기에게 맞는 선택일까?
토핑이유식 장단점 비교 – 우리 아기에게 맞는 선택일까?
토핑이유식 장단점 비교 – 우리 아기에게 맞는 선택일까?요즘 많은 엄마 아빠들이 이유식을 시작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 중 하나가"직접 만들까?", "완제품을 살까?", "간편식으로 사서 토
hotnews.techaak.com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인보청기 국가 지원금 신청 조건 및 금액 정리 (0) | 2025.04.10 |
---|---|
2025년 기준! 경찰서 종합민원실 업무시간 및 방문 꿀팁 (0) | 2025.04.10 |
정년퇴직 후 실업급여 꼭 받으세요! 수령 조건과 신청방법 A to Z (4) | 2025.04.09 |
무전취식 처벌 얼마나 받을까? 벌금부터 사기죄까지 정리 (0) | 2025.04.09 |
매달 700만 원 받는 연금복권! 인터넷 구매법과 추첨 요일 총정리 (0) | 2025.04.09 |